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삼성경제연구소 분위기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charoenmotorcycles.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삼성경제연구소 분위기
Your Anonymous Workplace Community – Blind
- Article author: www.teamblind.com
- Reviews from users: 32492
Ratings
- Top rated: 4.6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Your Anonymous Workplace Community – Blind Blind: 투명한 소통을 통해 지속가능한 조직문화를 만듭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Your Anonymous Workplace Community – Blind Blind: 투명한 소통을 통해 지속가능한 조직문화를 만듭니다.
- Table of Contents:
![Your Anonymous Workplace Community - Blind](https://i0.wp.com/wpsites.net/wp-content/uploads/2014/06/icon-after-more-link.png)
삼성글로벌리서치 현직자리뷰 | 캐치
- Article author: www.catch.co.kr
- Reviews from users: 25815
Ratings
- Top rated: 3.3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삼성글로벌리서치 현직자리뷰 | 캐치 조직문화/분위기. 84.9 ; 연봉/복지. 87.1 ; 근무시간/휴가. 86.5 ; 커리어/성장. 87.9 ; 경영진/비전. 87.4.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삼성글로벌리서치 현직자리뷰 | 캐치 조직문화/분위기. 84.9 ; 연봉/복지. 87.1 ; 근무시간/휴가. 86.5 ; 커리어/성장. 87.9 ; 경영진/비전. 87.4. 삼성글로벌리서치 현직자리뷰 전체업종 중 상위 2%, 직원의 75%가 추천 중. 현직자가 직접 평가한 조직문화부터 워라밸, 복지를 포함한 생생한 근무후기를 확인하세요.
- Table of Contents:
![삼성글로벌리서치 현직자리뷰 | 캐치](https://imgorg.catch.co.kr/job/catch1200x650.png)
(주)삼성글로벌리서치 기업리뷰 | 5명이 참여한 통계 & 리뷰 – 사람인
- Article author: www.saramin.co.kr
- Reviews from users: 35371
Ratings
- Top rated: 4.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주)삼성글로벌리서치 기업리뷰 | 5명이 참여한 통계 & 리뷰 – 사람인 경제 및 경영학 연구개발업 대기업 직원수 296명 업력 31년 차문중. 직원들이 뽑은 BEST 기업문화. 정기적 회의 진행 자유로운 출근 일하면서 성장 커리어 발전 기회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주)삼성글로벌리서치 기업리뷰 | 5명이 참여한 통계 & 리뷰 – 사람인 경제 및 경영학 연구개발업 대기업 직원수 296명 업력 31년 차문중. 직원들이 뽑은 BEST 기업문화. 정기적 회의 진행 자유로운 출근 일하면서 성장 커리어 발전 기회 … (주)삼성글로벌리서치 기업리뷰 | 육아휴직은 자유롭게 사용하시나요? 100% 눈치보며 사용 ! – (주)삼성글로벌리서치 직원들이 직접 뽑은 조직문화, 경영진, 근무환경, 급여 및 복지, 자기개발 통계 20건과 직원들이 직접 쓴 기업리뷰 5건을 확인하세요!(주)삼성글로벌리서치, (주)삼성글로벌리서치 기업리뷰, 리뷰, 회사리뷰, (주)삼성글로벌리서치 조직문화, (주)삼성글로벌리서치 경영진, (주)삼성글로벌리서치 근무환경, (주)삼성글로벌리서치 급여 및 복지, (주)삼성글로벌리서치 자기개발, 기업문화, 기업평판, 대기업, 공사·공기업, 외국계기업, 스타트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이직, 신입, 경력, 공채, 사람인, 취업, 채용
- Table of Contents:
![(주)삼성글로벌리서치 기업리뷰 | 5명이 참여한 통계 & 리뷰 - 사람인](https://www.saraminimage.co.kr/logo/saraminsnslogo.png)
삼성경제연구소 면접후기 | 잡코리아
- Article author: www.jobkorea.co.kr
- Reviews from users: 3212
Ratings
- Top rated: 3.5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삼성경제연구소 면접후기 | 잡코리아 삼성경제연구소는 강남에 새로생긴 서초타워의 삼성생명빌딩에 있었습니다. … 진행되었는데 면접같은 고압적인 분위기가 아니어서 좋았습니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삼성경제연구소 면접후기 | 잡코리아 삼성경제연구소는 강남에 새로생긴 서초타워의 삼성생명빌딩에 있었습니다. … 진행되었는데 면접같은 고압적인 분위기가 아니어서 좋았습니다. 저는 경력직으로 seri.org의 서비스 기획을 담당하는 직무에 지원해서 서류 합격후
잡세미나라는 PT면접을 봤는데.. 여기서 이런 것도 취급될런지 모르겠…삼성경제연구소 면접후기, 신입, 경력, 인턴, 공채, 취업, 가이드, 취준생, 잡코리아
- Table of Contents:
검색
직무 지역 찾기
전체서비스
주요서비스
MY 홈
기업서비스
공채 세부메뉴
Live공채소식 전체보기
잡코리아 기타 정보
![삼성경제연구소 면접후기 | 잡코리아](http://file1.jobkorea.co.kr/banner/share/share_img.png)
삼성 경영권 승계, SERI(삼성경제연구소)의 경우 : 주간동아
- Article author: weekly.donga.com
- Reviews from users: 41019
Ratings
- Top rated: 3.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삼성 경영권 승계, SERI(삼성경제연구소)의 경우 : 주간동아 순식간이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분위기가 변할 거라고는 생각을 못 했다. 몸담고 있던 팀이 해체되면서 사람들이 뿔뿔이 흩어졌고, 몇몇은 회사를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삼성 경영권 승계, SERI(삼성경제연구소)의 경우 : 주간동아 순식간이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분위기가 변할 거라고는 생각을 못 했다. 몸담고 있던 팀이 해체되면서 사람들이 뿔뿔이 흩어졌고, 몇몇은 회사를 … 뉴스, 기사, 속보, 동아일보, 동아닷컴, 주간동아, weekly, donga.com“순식간이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분위기가 변할 거라고는 생각을 못 했다. 몸담고 있던 팀이 해체되면서 사람들이 뿔뿔이 흩어졌고, 몇몇은 회사를 떠났다. 밖에서 ‘파워집단’이니 …
- Table of Contents:
삼성 경영권 승계 SERI(삼성경제연구소)의 경우
삼성 경영권 승계 SERI(삼성경제연구소)의 경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
![삼성 경영권 승계, SERI(삼성경제연구소)의 경우 : 주간동아](https://dimg.donga.com/a/515/0/90/5/egc/CDB/WEEKLY/Article/20/15/01/26/201501260500016_1.jpg)
고급두뇌를 위한 하이브레인넷(hibrain.net)
- Article author: www.hibrain.net
- Reviews from users: 22332
Ratings
- Top rated: 3.7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고급두뇌를 위한 하이브레인넷(hibrain.net) 삼성경제연구소에서 하이브레인넷에 채용공고를 낸 건 제 기억이 맞다면 최근 … 예전에 연구원 등 민간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어 기본적인 분위기나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고급두뇌를 위한 하이브레인넷(hibrain.net) 삼성경제연구소에서 하이브레인넷에 채용공고를 낸 건 제 기억이 맞다면 최근 … 예전에 연구원 등 민간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어 기본적인 분위기나 … 하이브레인넷은 세계적인 석학을 교수로 초빙하는 대부분의 명문대학과 교수/연구직을 희망하는 석박사급 고급 두뇌의 대부분이 이용하는 우리나라 연구인력 채용정보를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 Table of Contents:
하이브레인넷 서비스 메뉴
브레인카페
서비스링크
![고급두뇌를 위한 하이브레인넷(hibrain.net)](https://i0.wp.com/wpsites.net/wp-content/uploads/2014/06/icon-after-more-link.png)
Professor Jina Kang
- Article author: jinakang.snu.ac.kr
- Reviews from users: 43354
Ratings
- Top rated: 3.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Professor Jina Kang 삼성 경제연구소(SERI), 수석 연구원 (2012.10 – 2019.02) – IBK 경제연구소, 연구위원 (2012.02 – 08) – (주)한화 근무 (2005.01 – 2005.09)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Professor Jina Kang 삼성 경제연구소(SERI), 수석 연구원 (2012.10 – 2019.02) – IBK 경제연구소, 연구위원 (2012.02 – 08) – (주)한화 근무 (2005.01 – 2005.09) … #
- Table of Contents:
![Professor Jina Kang](https://i0.wp.com/wpsites.net/wp-content/uploads/2014/06/icon-after-more-link.png)
삼성경제연구소 분위기
- Article author: www.hankyung.com
- Reviews from users: 43958
Ratings
- Top rated: 3.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삼성경제연구소 분위기 대기업 소속 연구소(삼성경제연구소)의 두뇌를 빌려 나온 성장주의 … 의견을 듣는 분위기가 있었다”며 “지금은 거시 정책에 대한 깊이있는 조언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삼성경제연구소 분위기 대기업 소속 연구소(삼성경제연구소)의 두뇌를 빌려 나온 성장주의 … 의견을 듣는 분위기가 있었다”며 “지금은 거시 정책에 대한 깊이있는 조언을 …
- Table of Contents:
![삼성경제연구소 분위기](https://i0.wp.com/wpsites.net/wp-content/uploads/2014/06/icon-after-more-link.png)
»ï¼º°æÁ¦¿¬±¸¼Ò ¹®È :´Ù¾çÇÏ°í ÁÁÀº ºÐµéÀÌ ¸¹¾Æ ºÐÀ§±â°¡ … :: »ï¼º°æÁ¦¿¬±¸¼Ò ÆòÆÇ – plusbiz
- Article author: www.plusbiz.co.kr
- Reviews from users: 46478
Ratings
- Top rated: 3.0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ï¼º°æÁ¦¿¬±¸¼Ò ¹®È :´Ù¾çÇÏ°í ÁÁÀº ºÐµéÀÌ ¸¹¾Æ ºÐÀ§±â°¡ … :: »ï¼º°æÁ¦¿¬±¸¼Ò ÆòÆÇ – plusbiz 삼성경제연구소 기타이 평가한 리얼 이야기, 문화 :다양하고 좋은 분들이 많아 분위기가 좋다고 들었어요……삼성경제연구소 전체 평점 3.47 , 삼성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ï¼º°æÁ¦¿¬±¸¼Ò ¹®È :´Ù¾çÇÏ°í ÁÁÀº ºÐµéÀÌ ¸¹¾Æ ºÐÀ§±â°¡ … :: »ï¼º°æÁ¦¿¬±¸¼Ò ÆòÆÇ – plusbiz 삼성경제연구소 기타이 평가한 리얼 이야기, 문화 :다양하고 좋은 분들이 많아 분위기가 좋다고 들었어요……삼성경제연구소 전체 평점 3.47 , 삼성 … »ï¼º°æÁ¦¿¬±¸¼Ò ±âŸÀÌ Æò°¡ÇÑ ¸®¾ó À̾߱â, ¹®È :´Ù¾çÇÏ°í ÁÁÀº ºÐµéÀÌ ¸¹¾Æ ºÐÀ§±â°¡ ÁÁ´Ù°í µé¾ú¾î¿ä……»ï¼º°æÁ¦¿¬±¸¼Ò Àüü ÆòÁ¡ 3.47 , »ï¼º°æÁ¦¿¬±¸¼Ò Á÷¿ø ¹× °ü·ÃÀÚ°¡ ÀüÇÏ´Â ¹®È ºñÀü º¸»ó ¸éÁ¢Èı⠵î ÀÇ°ß 26 reviews ±â¾÷ÆòÆÇ, ÇöÁ÷¿ø, ÀüÁ÷¿ø, ÆòÆÇÁ¡¼ö, Æò°¡Á¡¼ö, ¸éÁ¢Á¤º¸, ¸éÁ¢Èıâ, »ï¼º°æÁ¦¿¬±¸¼Ò, »ï¼º°æÁ¦¿¬±¸¼Ò
- Table of Contents:
![»ï¼º°æÁ¦¿¬±¸¼Ò ¹®È :´Ù¾çÇÏ°í ÁÁÀº ºÐµéÀÌ ¸¹¾Æ ºÐÀ§±â°¡ ... :: »ï¼º°æÁ¦¿¬±¸¼Ò ÆòÆÇ - plusbiz](https://i0.wp.com/wpsites.net/wp-content/uploads/2014/06/icon-after-more-link.png)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966+ tips for you.
삼성경제연구소 면접후기
저는 경력직으로 seri.org의 서비스 기획을 담당하는 직무에 지원해서 서류 합격후
잡세미나라는 PT면접을 봤는데.. 여기서 이런 것도 취급될런지 모르겠네요;; ㅎㅎ
나중에 경력직 대상으로도 서비스가 확충될거라 생각하고 올려봅니다. (실은 1000포인트가 탐나서 ;; )
저는 학사에 실무경력은 4년남짓 됩니다. 창업경력까지 포함하면 6-7년 가량 되죠.
삼성경제연구소는 강남에 새로생긴 서초타워의 삼성생명빌딩에 있었습니다.
아침 10시에 면접인데 9시40분까지는 오라더군요.
엘리베이터에서 내리고 담당자분께 전화를 드렸더니 나오셔서 회의실로 안내하셨습니다.
들어가니까 여성지원자 한분이 와계셨고 이윽고 총 6명의 지원자가 왔습니다.
정식면접 시작전에 한 젊은 면접관분이 간단하게 안내를 하신 후 가벼운 질문을 시작하셨습니다
돌아가면서 자기소개서를 보고 미심쩍은 부분에 대해 질문을 하셨고
대략적으로 경력의 공백기간을 물어보셨으며 저의 경우에는 창업을 왜 했는가를 물어보셨더군요.
이때 대답을 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회사에서 잘 적응할 수 있는지 여부를 물으시는 것 같았습니다.
정식 면접이 시작되고 면접관도 5분 정도.. 상무 부장 과장… 이렇게 들어오셨습니다.
주요 질문은 상무님이 다 하셨습니다.
편하게 탁상에서 회의하는 것처럼 진행되었는데 면접같은 고압적인 분위기가 아니어서 좋았습니다.
저에게는 제일 자신있는 업무가 무엇인가.
업무외적으로 좋아하는 것이나 취미가 무엇인가
공백이 있는데 쉬는동안 무엇을 하는가
나머지 사항은 각 개인의 이력서에 적힌 경력적인 부분을 많이 물어보셨습니다.
그런 후 쉬는 시간이 주어지고 PT면접이 진행되었습니다.
PT면접의 주제는
“SERICEO 온라인 활성화 전략”
1. WEB 2.0의 개념을 활용한 회원-회원, 회원-SERI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
2. SERICEO 회원특성을 고려한 장기 미접속 회원 활성화 방안
3. VVIP용 오프라인 서비스와 연계한 서비스 업그레이드 방안
위의 3가지 중에서 택일 하여 독창성과 참신성을 주로 평가하였습니다.
주제는 1주일 전부터 미리 메일로 주어졌고 PT시간은 10분 주어졌습니다.
제가 하필 전날에 감기 심하게 걸려서 컨디션이 저조해서 적극적으로 임하지 못한게 많이 아쉽네요.
면접날 최상의 컨디션으로 갈 수 있게 하는 것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삼성 경영권 승계, SERI(삼성경제연구소)의 경우
2014년 12월 17일 경북 구미시 신평동 모바일기술융합센터에서 열린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오른쪽에서 세 번째와 두 번째).
2013년 7월 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형 시장경제체제의 모색’ 제2차 학술심포지엄. 삼성경제연구소(SERI)가 공식적으로 주최한 마지막 외부 공개 행사다.
“순식간이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분위기가 변할 거라고는 생각을 못 했다. 몸담고 있던 팀이 해체되면서 사람들이 뿔뿔이 흩어졌고, 몇몇은 회사를 떠났다. 밖에서 ‘파워집단’이니 ‘막강 연구 인력’이니 목소리를 높이던 그 순간 이미 변화는 궤도에 오른 상태였다. 조직이 쓸모없는 작업이라고 판단한다면 구성원으로서는 할 말이 있을 리 없다. ‘좋은 시절’이 끝난 게 안타까울 뿐 미련은 없었다.”(지난해 퇴직한 삼성경제연구소 전직 관계자)삼성경제연구소(SERI)가 달라졌다. 한국 사회의 경제 분야 담론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스마트 통치’라는 비판까지 받았던 공격적 행보는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정부의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 이론적 근거와 어젠다를 제공하던 것이 7~8년 전 일임을 감안하면 실로 격세지감. 경제·사회·인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포괄해 이슈를 주도하던 ‘동아시아 싱크탱크’에서 삼성그룹 내부의 경영 전략에만 집중하는 ‘인하우스(in-house)’ 연구소로의 탈바꿈이다.과거는 화려했다. 2013년 4월 이광근 당시 성공회대 민주주의연구소 연구원(현 동국대 다르마칼리지 강의초빙교수)과 이경환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이 한국 비판사회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 ‘스마트 통치의 등장 : 삼성경제연구소의 등장과 영향력 강화’는 그 전성기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논문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입을 통해 등장한 ‘국민소득 2만 달러’론이 노무현 대통령을 통해 당시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로 설정되는 과정을 추적했다. 서비스산업 중심론, 매력한국론,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추진에 이르기까지 SERI가 주도적으로 제안한 이들 프로젝트가 당시 여당이던 열린우리당과 청와대를 거쳐 국가정책으로 입안되곤 했다는 게 이들의 분석이다.공교롭게도 해당 논문이 발표된 직후인 2013년 여름부터 SERI의 분위기는 급반전하기 시작했다. 연구소에서 생산한 보고서 상당량을 공개하던 인터넷 홈페이지는 2013년 10월을 마지막으로 국문 보고서 게재를 중단했다. 영문 보고서 역시 그해 11월이 마지막. 이후 1년여를 훌쩍 넘기는 동안 SERI의 연구 결과는 대중에게 공개된 적이 없다. 새해 경제전망과 ‘올해의 10대 히트상품’ 등 이 연구소가 꾸준히 펴내던 대표적인 연차보고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2012년 11월 분사된 SERICEO만이 회원제 유료정보 형태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이뿐 아니다. 2008년부터 6년간 펴냈던 계간 영문저널 ‘SERI 쿼털리’도 2014년 2월 폐간을 선언했다. 매년 7~8종씩 펴내던 단행본 역시 2014년에는 4종으로 줄었고, 그마저 대부분은 외부 필자 책이다. 4월 내부 연구 인력이 펴낸 마지막 단행본 ‘플랫폼, 경영을 바꾸다’는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분야에 한정한 기술 분석서. 중국과 일본 경제, 은퇴와 노령화, 메가트렌드 등 동북아 전체를 큰 틀에서 논하던 이전과는 적잖이 다른 패턴이다.수년 전까지 SERI의 주요 사업 가운데 하나였던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주요 정당에 대한 컨설팅 프로젝트도 2014년 이후 대부분 중단했다는 게 연구소 측 설명이다. 남아 있는 것은 지난해 하반기 출범한 대구와 경북의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삼성그룹 내 다른 계열사들과 함께 참여한 정도다. 박근혜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참석해 언론의 대대적인 주목을 받은 이들 센터는 그룹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다. 정부사업 참여라기보다 그룹 지원에 해당한다는 게 연구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경제 분석 기사에 SERI 전문가들의 견해가 쉴 새 없이 등장하던 이전과 달리, 2014년 이후로는 SERI 소속 연구 인력의 언론 기고는 물론 기사에 인용되는 코멘트도 찾아보기 쉽지 않아졌다. 연구소가 내부적으로 이들의 대외활동에 제한을 두고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연구 인력이 개인 차원에서 참석하던 외부 세미나 등 학술행사나 학술저널에 논문을 싣는 일까지 제약을 받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학술행사에 참석한 몇몇 개인이 경위서 제출을 요구 받은 일도 있었다는 후문. 한마디로 ‘외부에 SERI의 견해로 오해받을 수 있는 발언 일체’를 차단한 셈이다.짧은 사이 벌어진 극적인 변화. 안팎에서 거론하는 첫 번째 이유는 SERI가 내놓는 분석이 여야 정치권에서 정책 공방의 주요 근거로 인용되는 일이 부담스러워졌으리라는 시각이다. 특히 문제가 된 것은 새해 경제 전망. 2012년까지 SERI가 내놓은 새해 경제성장률 예측치가 정부나 한국은행,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국책연구기관 전망치에 비해 크게 밑도는 상황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정치권과 언론이 SERI 측 수치를 인용해 정부의 ‘지나치게 낙관적인 자세’를 질타하는 상황이 반복되기도 했다.특히 SERI 안팎에서는 이건희 회장의 건강 악화와 이재용 부회장 등 3대로의 경영권 승계가 궤도에 오르면서 삼성그룹 전체가 극히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이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박근혜 정부 출범 직후 ‘굳이 (정부와 관점이 다른 연구 결과를 공개해) 심기를 거스를 필요가 있느냐’는 기류가 형성됐다는 것. 경영권 승계라는 민감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청와대는 물론 주요 경제부처와도 불편한 관계를 만들지 않는 일이 중요했을 것이라는 견해다. 앞서 소개한 논문의 필자인 이광근 교수의 말이다.“임기 중반 지지율 하락으로 궁지에 물렸던 노무현 정부는 신성장동력 등 새로운 어젠다를 던져 공격적으로 경제를 이끌 필요가 있었고, 따라서 SERI의 아이디어나 도움이 반가웠을 것이다. 그러나 산업화 시대의 발전 전략을 차용하고 있는 박근혜 정부는 그런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2년 대통령선거 당시 경제 분야의 주요 화두는 분배였지만, 이는 SERI가 경쟁력을 가진 이슈가 아니지 않은가. 여기에 재벌의 경영권 승계에 비판적인 여론의 향배를 민감하게 의식하면서 SERI의 최근 변화가 나타났다고 본다.”이러한 견해에 대해 SERI 측은 “시점을 짜 맞춘 오해”라고 반박한다. 김진혁 SERI 연구조정실 수석연구원은 “외부활동 자제와 보고서 비공개는 그룹 내 주요 계열사의 실적이 악화하면서 내부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자는 취지에서 결정된 것일 뿐, 경영권 승계나 새 정부 출범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스마트폰 등 하향세를 보이는 주요 사업에서 새로운 산업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작업에 역량을 쏟다 보니 내부 컨설팅이 급증했고, 그에 따라 거시 분석이나 인문·사회 분야에 대한 연구가 급감했다는 설명이다. 2013년부터 새해 경제성장률 예측을 내놓지 않고 있는 것 역시 투입해야 할 인력과 시간을 감안하면 다른 기관이나 해외 투자은행(IB) 전망치를 활용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 때문이라는 것이다.실제로 SERI 전체의 조직체계나 인력 구성이 그룹 내부의 산업 전략을 지원하는 형태로 급속도로 재편되고 있음은 여러 경로를 통해 확인된다. 인문·사회·안보 등 연구원의 전공 분야에 관계없이 주요 계열사의 요청에 따른 컨설팅 작업에 투입되고 있다는 것. 여기에 외부 학술행사 참여나 논문 발표 등도 제약을 받으면서 학계에 뜻을 두고 있는 전문 인력의 이직도 심심찮게 이어지고 있다. 2013년까지만 해도 이러한 흐름이 경영권 승계 과도기에 잠시 벌어지는 일일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지만, 지난해 하반기를 넘어오면서 그룹 최고경영진 차원에서 연구소의 역할을 영구적으로 바꾸겠다고 결정한 것 같다는 인식이 확산됐다는 이야기다.SERI의 연구 인력은 현재 160명 안팎. 지원 인력 100여 명을 포함하면 전체 종업원은 250명을 가뿐히 넘어선다. 이공계 연구소를 제외하고는 공공과 민간을 가리지 않고 대한민국 최대 규모. 특히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는 연구진들의 전공은 그간 ‘SERI 보고서’의 브랜드파워를 키우는 원동력이었다. 주목할 것은 대외활동이 중단된 최근 1~2년 사이 연구 인력은 오히려 40명 가까이 늘어났다는 사실이다. 신규 채용되는 인원은 화학, 건설 등 산업 분야 전공자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종합연구소에서 인하우스 연구소로의 정책 변경이 구조적인 작업이라는 방증이다.이러한 SERI의 급격한 변신에 대해 긍정적 평가와 비판이 엇갈린다. 삼성이라는 기업이 국가정책이나 담론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사라졌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거꾸로 특정 법안이나 정책에 대해 삼성이 어떤 생각이나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지 들여다볼 창구도 함께 사라졌다는 것. 정책 문제와는 별개로 한국 사회가 고민해야 할 이슈를 선제적으로 따져 묻곤 했던 SERI의 순기능마저 함께 사라진 것은 사회적 손실로 봐야 한다는 견해도 만만치 않다. 지금은 대학에 몸담고 있는 한 전직 SERI 관계자의 말이다.“문제는 기업 공공성에 대한 오너의 마인드라고 본다. SERI의 활발한 담론활동에는 국내 최대기업 삼성의 사회적 기여라는 측면도 있었다. 기업과 사회가 만나는 최소한의 접촉면(interface)마저 닫아버리는 것은 ‘지나친 몸조심’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이제까지 공개적으로 담론 형성에 참여했다면 앞으로는 비슷한 작업이 극소수 정책결정자들을 상대로 한층 은밀하게 이뤄질 개연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본다.”이에 대해 SERI 측은 “사회적 기여라는 측면에서 보면 안타까운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연구 결과를 내부에서만 독식한다는 비판은 오해”라고 말했다. 사회에 공개할 만한 결과물이 더는 생산되지 않는 것일 뿐, 있으면서도 내놓지 않는 게 아니라는 취지다. 김진혁 수석연구원은 “경제 상황 악화와 내부 역할 조정에 따라 진행되는 불가피한 변화임을 알아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Professor Jina Kang
Post-Doc Graduates
이주일 (JUIL LEE) ([email protected]) 학력 – 연세대학교 경영학 박사 – 연세대학교 경영학 석사 – 연세대학교 경영학사 경력 – 울산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2020 – Present)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후연구원 (2019 – 2020) – 연세대학교 디지털 사회 연구센터, 전문연구원 (2018 – 2019) – INSEAD, 방문연구원 (2017) 수상 – 2018 한국중소기업학회 춘계학술대회, Best Presentation Award – 2015 제8회 사업체패널 학술대회, 한국노동연구원, Best Student Paper 게재 논문 및 저서 – Lee, J. Rhee, M., and Park, K.M. (2020). Looking Backward through the Looking Glass: Reference Groups and Social Comparison, Journal of Management & Organization. 26(1): 110-131 – Kim, S-J. & Lee, J. (2019). Technological Embeddedness as a Determinant of Techno-Entrepreneurship. In Francois Therin, Francesco Paolo Appio, and Hyungseok Yoo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chno-Entrepreneurial Ecosystems (3rd Edition). Edward Elgar. – Lee, J. and Kim, S-J. (2018). Explaining Short-termism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Decision Making. In Das, T.K. (Ed.), Behavioral Strategy for Competitive Advantage (pp. 121-144).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Ph.D. Graduates
강기현 (Ki H. Kang) ([email protected]) 학력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 (2012) –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학사 (2005) – 대영고등학교 (2000) 경력 – 3Billion, CEO (2019.02 – present) – 삼성 경제연구소(SERI), 수석 연구원 (2012.10 – 2019.02) – IBK 경제연구소, 연구위원 (2012.02 – 08) – (주)한화 근무 (2005.01 – 2005.09) 수상 – 2011 IAMOT, Best Conference Paper Award 수상 – 2011 기술혁신연구, 우수논문상 수상 게재 논문 – Ki Kang, Gil S. Jo and Jina Kang (2015), ‘External Technology Acquisition: A Double-Edged Sword’,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3(2), pp. 35-52 – 강기현, 최승철, 강진아 (2015), ‘기업의 제휴 집약도와 지식기반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식 기반 폭과 깊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전략연구, 18(1), pp. 31-55 – Ki Kang and Jina Kang (2014) Do External Knowledge Sourcing Modes Matter for Service Innovation? Empirical Evidence from South Korean Service Firm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31(1), pp. 176-191 – 조슬아, 강기현, 강진아 (2011), ‘교수의 연구역량과 연구비 수혜가 대학스핀오프 기업 형성 속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연구, 19(2), pp. 99-128 – Ki Kang and Jina Kang (2010), ‘Does partner type matter in R&D collaboration for product innovation?’, Technology Analysis and Strategic Management, 22(8), pp. 945-959. – Jina Kang, Mooweon Rhee, and Ki Kang (2010), ‘Revisiting Knowledge Transfer: Effects of Knowledge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Effort for Knowledge Transfer’,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7(12), pp. 8155-8160. – Ki Kang Jina Kang (2009), ‘How Do Firms Source External Knowledge for Innovation? Analysing Effects of Different Knowledge Sourcing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13(1) pp. 1-17.
박군호 (Gunno Park) ([email protected]) 학력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 (2012)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 석사 (2008) –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학사 (2006) 경력 – SK Telecom, Senior Manager (2017.10 – present) – 삼성 SDS, 수석 연구원 (2012.09 – 2017.09) – 삼성전자, 경영기획팀, Corporate Planning & Research Group. RA (2007.06 – 2009.01) – Nomura Research Institute, Research Assistant (2006.09 – 2006.12) – Boston Consulting Group, Research Assistant (2005.12 – 2006.02) – Sony Korea, Research Assistant (2004.09 – 2005.07) 수상 – 2013 CIM, Tudor Rickards and Susan Moger Best Paper Award Runner Up Paper 수상 – 2012 AJTI, The Most Read Article in the First Half 선정 – 2010 KAMS, Best Conference Paper Award 수상 – 2007 Woongjin Coway Marketing Contest, 우수상 – 2006 KOLON Marketing Contest, 은상 – 2005 SNU Material Science Engineering 졸업 논문 발표회, 우수상 – 2004 Brandcareer.com Brand Strategy Competition, 장려상 – 2004 소니코리아 드리머즈 챔피언십 경영전략 논문부문, 우수상 – 2003 KT&G Marketing Competition, 입상 게재 논문 – Chul Lee, Gunno Park, Klaus Marhold and Jina Kang (2017), ‘Top management team’s innovation-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firm’s explorative R&D: an analysis based on patent data’, Scientometrics, 111(2), pp.639-663, 2017. – Lee, C., Park, G. & Kang, J. The impact of convergence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on innovation. J Technol Transf 43, 522–544 (2018). – Gil S. Jo, Gunno Park and Jina Kang (2016), ‘Unravelling the link between technological M&A and innovation performance using the concept ofrelative absorptive capacity’,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4(1), pp. 55-76 – Marco JinHwan Kim, Gunno Park and Jina Kang (2015), ‘Two-sided Effects of Embeddedness in Alliance Portfolios’,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19(4) – Gunno Park, Marco JinHwan Kim and Jina Kang (2015), ‘Competitive Embeddedness: The Impact of Competitive Relations among a Firm’s Current Alliance Partners on its New Alliance Formations’,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24(2), pp. 196-208 – Gunno Park and Jina Kang (2013), ‘Alliance Addiction: Do Alliances Create Real Benefits?’,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22(1) , pp. 53-66 – Gunno Park and Jina Kang (2010), ‘Entry Conditions Firm Strategi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an Emerging Green Industry: The Case of the Solar Cell Industry’,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18 (2), pp. 21-42. – Gunno Park and Jina Kang (2009), ‘The Effects of Teacher Firms’ Characteristics and Student Firms’ Absorptive Capacity on Firm Performance in Technology Allia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13(3), pp. 393-409
김진환 (Marco JinHwan Kim) ([email protected]) 학력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 (2015) –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교환학생 (2006) – KAIST 기계공학 학사 (2009) – 한성과학고등학교 (2003) 경력 – 삼성 경제연구소(SERI), 수석 연구원 (2016 – present) – Nomura Research Institute, RA (2009.10 – 2009.12) – Global Fluency, 인턴 (2009.08) – (주)크리베이트파트너스 (2007.09 – 2008.05) – LG전자 생산성연구원, 인턴 (2005.06 – 2005.07) 수상 – 2013 KSMS Best Conference Paper Award (Premier Award) 수상 – 2009 동부화재 보험상품 공모전 장려상 게재 논문 – Klaus Marhold, Marco JinHwan Kim and Jina Kang (2017) The Effects of Alliance Portfolio Diversity on Innovation Performance: A Study of Partner and Alliance Characteristics in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21(1) – S. Hwan Song, Marco JinHwan Kim and Jina Kang (2016), ‘The Effects of Ambidextrous Alliances on Product Innovation’,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26(1), pp. 4-18 – Marco JinHwan Kim, Gunno Park and Jina Kang (2015), ‘Two-sided Effects of Embeddedness in Alliance Portfolios’,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19(4) – Gunno Park, Marco JinHwan Kim and Jina Kang (2015), ‘Competitive Embeddedness: The Impact of Competitive Relations among a Firm’s Current Alliance Partners on its New Alliance Formations’,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24(2), pp. 196-208
조길수 (Gil S. Jo) ([email protected]) 학력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 (2016) –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학사 (2010) –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Australia. 교환학생 (2007) 경력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전략기획실 부연구위원 (2017 – present) – Accenture, 인턴 (2010.02) 수상 – 2014 ASIALICS Best Student Paper Award 수상 게재 논문 – John Seokhyun Han, Gil S. Jo and Jina Kang (2017), ‘Is High Quality Knowledge Always Beneficial? Knowledge Overlap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Technological M&As’, Journal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35, pp. 1-21. – Gil S. Jo, Gunno Park and Jina Kang (2016), ‘Unravelling the link between technological M&A and innovation performance using the concept of relative absorptive capacity’,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4(1), pp. 55-76 – Ki Kang, Gil S. Jo and Jina Kang (2015), ‘External Technology Acquisition: A Double-Edged Sword’,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3(2), pp. 35-52 – 윤석준, 조길수, 강진아 (2015) 제휴 포트폴리오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자원과 교섭력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국제경영연구, 26(2), pp. 63-97
클라우스 마르홀드 (Klaus Marhold) ([email protected]) 학력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 (2016) – 비엔나대학교 동아시아경제및사회학 석사 (2012) – 비엔나대학교 한국학 석사 (2010) – 비엔나대학교 한국학 학사 (2007) – HTL Wien III 산업공학 학사 (2002) 경력 – 비엔나대학교, 조교수 (2019 – present) – (주)브링프라이스, 사업개발 담당자 (2017 – 2018)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시간강사 (2017 – 2018) – 숙명여자대학교 앙트러프러너십전공, 시간강사 (2017) – 비엔나대학교, 초빙교수 (2011 – 2016) – 비엔나대학교, RA (2009 – 2010) – 오스트리아 연구센터, 연구원 (Department for Space Propulsion and Advanced Concepts) (2002 – 2007) 수상 – 2012 KSMS Best Conference Paper Award 수상 게재 논문 – Klaus Marhold, Marco JinHwan Kim and Jina Kang (2017), ‘The Effects of Alliance Portfolio Diversity on Innovation Performance: A Study of Partner and Alliance Characteristics in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21(1) – Klaus Marhold and Jina Kang (2017), ‘The Effects of Internal Technological Diversity and External Uncertainty on Technological Alliance Portfolio Diversity’, Industry and Innovation, 24(2), pp. 122-142. – Chul Lee, Gunno Park and Klaus Marhold and Jina Kang (2017), ‘Top management team’s innovation-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firm’s explorative R&D: an analysis based on patent data’, Scientometrics, 111(2), pp.639-663, 2017. – Seungryul Ryan Shin, John Seokhyun Han and Klaus Marhold and Jina Kang (2017), ‘Reconfiguring the Firm’s Core Technological Portfolio through Open Innovation: Focusing on Technological M&A’,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Special Issue), 21(3), pp. 571-591. – S.Joseph Yoon, Klaus Marhold and Jina Kang (2017), ‘Linking the firm’s knowledge network and subsequent exploratory innovation: a study based on semiconductor industry patent data’, Innovation: Organization & Management, 19(4), pp. 463-482
이방실 (Bangsil Esther Lee) ([email protected]) 학력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 (2011.09 – 2017.02) – 듀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2008)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외국어교육 (영어전공) 석사 (2003)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학과 학사 (1997) 경력 – 동아일보 기업가정신 센터장 (2010.09 – present) –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경영지식팀 기자 (2010.02 – present) – 올리버와이만 서울사무소 컨설턴트 (2008.09 – 2010.01) – 한국경제신문 편집국 기자 (1999.05 – 2006.06) 게재 논문 – Bangsil Esther Lee Jina Kang (2016), ‘Power of Peripheral Innovations – A Case Study of Amorepacific’s Cushion’, Research Technology Management, 59(4), pp. 21-29, 2016.
한민선 (Sunny Hahn) ([email protected]) 학력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 (2010.03 – 2017.02) –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석사(2010) –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ingapore. 교환학생(2006) –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학사 (2008) 경력 – 노무라 종합연구소, Consultant (2017 – present) – Research Assistant, Separation Processes Laboratory, ETH Zurich, Switzerland (2007.09 – 2008.01) 게재 논문 – Sunny Hahn and Jina Kang (2017), ‘Complementary or Conflictory?: The Effects of Composition of the Syndicate on Venture Capital-backed IPOs in the U.S. Stock Market’, Economia e Politiaca Industriale (Special Issue), 44(1), pp. 77-102, 2017.
이철 (Chul Lee) ([email protected]) 학력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 (2011.03 – 2017.08) – 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 연합전공 기술경영 학사 (2010) 경력 – 선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중소기업혁신본부 기술사업화분석센터 산업정보분석실 (2017.10 – present) 게재 논문 – Chul Lee, Gunno Park, Klaus Marhold and Jina Kang (2017), ‘Top management team’s innovation-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firm’s explorative R&D: an analysis based on patent data’, Scientometrics, 111(2), pp.639-663, 2017. – EJ Jung, Chul Lee and Jina Kang (2017), ‘Research for Bio-diversity Maintenance and Firm’s Sustainable Growth’,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2(1), pp. 51-74 – Lee, C., Park, G. & Kang, J. The impact of convergence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on innovation. J Technol Transf 43, 522–544 (2018). – Chigu Kim, Chul Lee and Jina Kang (2018), ‘Determinants of firm’s innovation-related external knowledge search strategy: The role of potential absorptive capacity and appropriability regime’,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22(4)
정두희 (Doohee H. Chung) ([email protected]) 학력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 (2011.09 – 2017.08) – Helsinki School of Economics in Finland MBA (2011) – 한동대학교 경영경제학부 학사(2006) 경력 – 한동대학교 ICT창업학부 교수 (2018.03 – present) – 삼성경제연구소 선임컨설턴트 (2011.03 – 2018.02) – 삼성경제연구소 주임컨설턴트 (2006.03 – 2011.02) – 중소기업청 公認 경영지도사 (경영컨설턴트) 수상 – 삼성경제연구소 우수직원상 수상 (2009.08) – 중소기업진흥공단 주최 전국논문공모전 2위 (2004.10) 게재 논문 – Doohee H. Chung, Marco Jinhwan Kim and Jina Kang (2019), ‘Influence of alliance portfolio diversity on innovation performance: the role of internal capabilities of value creation’, Revview of Managerial Science, 13(5) – Doohee H. Chung, Theresa S. Cho and Jina Kang (2018), ‘The linkage between TMT knowledge diversity and firm-level innovation: the role of organisational search scope and managerial discre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78(3)
이상욱 (Simon U. Lee) ([email protected]) 학력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 (2010.09 – 2018.02) – Franklin W. Olin College of Engineering, U.S., 교환학생 (2008) –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학사 (2010) – 한성과학고등학교 (2005) 경력 – LG생활건강, 선임연구원 (2018.02 – present) – nPlatform(앤플랫폼), 인턴 (2011. 08) 게재 논문 – Yichang Kim, Simon U. Lee and Jina Kang (2016), ‘Appropriate Alliance Network Structure and the Properties of Partner Firms for Successful Knowledge Transfer’, Yonsei Business Review, 53(2), pp. 303-341, (Yonsei Business Review ‘s Best Paper of the Year Excellence Prize) – Simon U. Lee and Jina Kang (2015),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Through Corporate Venture Capital Investments: Creating Various Options to Strengthen Dynamic Capabilities’, Industry and Innovation, 22(5), pp. 349-374
김치구 (Chi-gu Kim) ([email protected]) 학력 – 서울대학교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박사 (2011.03 – 2018.02)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석사 (2008)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영학 학사 (2010) – 고려대학교 응용생명환경화학과 학사 (2003) – 부천고등학교 (1996) 경력 – 삼성서울병원, 책임 (2013.05 – present)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책임연구원 (2008.04 – 2013.04) 게재 논문 – Chigu Kim, Chul Lee and Jina Kang (2018), ‘Determinants of firm’s innovation-related external knowledge search strategy: The role of potential absorptive capacity and appropriability regime’,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22(4)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삼성경제연구소 분위기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